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정묘의모든것2.12운성.납음

by 이름비법 2023. 12. 5.

丁卯일주 간파하기 (12운성)

卯편인(병지|역마살)

지장간

甲(정인) 정인 갑목은 일지 묘에서 왕지/장성살

乙(편인) 편인 을목은 일지 묘에서 건록/망신살 比肩劫

丙(겁재) 겁재 병화는 일지 묘에서 욕지/년살(도화살)

丁(비견) 비견 정화는 일지 모에서 병지/역마살 食傷

戊(상관) 상관 무토는 일지 묘에서 욕지/년살(도화살)

己(식신) 식신 기토은 일지 묘에서 병지/역마살 財星

庚(정재) 정재 경금은 일지 묘에서 태지/재살(수옥살)

辛(편재) 편재 신금은 일지 묘에서 절지/겁살 官星

壬(정관) 정관 임수는 일지 묘에서 사지/육해살

癸(편관) 편관 임수는 일지 묘에서 생지/지살

 

1.인수가 병지인 정묘일생은 중년 이후에도 변함없는 학구열을 암시합니다.

▶일주 자리가 인성이면서 병지 약하다고 볼 수 없겠지요 그리고 일주자리는 근묘화실로 중년이 되옵니다.

2.문곡으로 배움을 위해 먼길을 마다하지 않습니다.

▶문곡귀인은 문창귀인과 충의 관계에 듭니다.

즉, 丁일간의 문창귀인은 음간이므로 생지 "酉"가 되옵니다.

그런데 미 유와 충하는게 문곡귀인이 되옵니다.

3.하지만 배우자의 병환이나 이별 둘 중의 하나의 상황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4.진로는 기대 이상으로 잘 열리지 않습니다.

▶진로성인 상관이 욕지에 드네요

5.임수 관성이 사지에 놓이므로 추진력이나 활동력 면에서는 상대 적으로 미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6.보통 인수의 성분이 혼잡되면 인정이 많아 잘 베풀면서도 이해타산이 분명한 경향이 있습니다.

 

남명.

1.남자는 고부 갈등을 피할 도리가 없습니다.

2.36금수에 묘목은 고슴도치에 비유되듯 배우자와는 사이가 멀어지는 딜레마가 있습니다.

3.배우자궁에 묘파성이 들면 좀체 부부 사이의 화락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여명.

1.여성은 자존심이 강합니다.

이것은 인수의 특징입니다.

2.미모가 출중하고 멋과 풍류가 넘칩니다.

상관이 욕지에 놓이는 까닭입니다.

3.재성인 시모는 재살이고, 인수인 친모는 왕지에 놓여 시모와의 관계가 악화되기 쉽습니다.

4.관이 사지에 놓인 이상 심하면 이혼과 재가하는 수가 있습니다.

5.정묘생은 자묘형이나 자유파를 중하게 봅니다.

6.특지 자수는 절지에 속하며 정화를 습하게 하는 까닭으로 불리합니다.

7.유시에 나면 자식 하나를 잃거나 자녀를 두기 어렵습니다.

 

occult practices : (흉조의 물상대체) 번제 燔祭/불에 구워 제사지냄

노중화를 표현
노중화를 표현

爐中火(노중화)

爐화로 로,화로 노

1. 화로(火爐: 숯불을 담아 놓는 그릇) 2. 향로(香爐: 향을 피우는 자그마한 화로) 3. 불을 피우게 하는 기구(器具) 4. 풀무(불을 피울 때에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 5. 목로(木壚: 술잔을 놓기 위해 널빤지로.

中가운데 중

1. 가운데 2. 안, 속 3. 사이 4. 진행(進行) 5. 마음, 심중(心中) 6. 몸, 신체(身體) 7. 내장(內臟) 8. 중도(中途) 9. 절반(折半) 10. 장정(壯丁) 11. 관아의 장부(帳簿ㆍ賬簿), 안건(案件) 12. 가운데.

火불 화

1. 불, 열과 빛 2. 타는 불 3. 화재(火災) 4. 화, 한의학 용어 5. 양, 태양(太陽) 6. 화성(火星), 별의 이름 7. 긴급(緊急)함의 비유(比喩ㆍ譬喩) 8. 동아리(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갑기 합토의 중정지합 노중화는 열정을 의미합니다 양으로 첫번째 뜨는 태양이기도 하지만

음으로는 그 태양으로 인한 반응이기도 합니다 신유의 산하화가 외적영향으로 인한 것이라면 노중화는 내적작용으로 인한 것입니다

음양의 생사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寅木과 卯木은 천치가 개벽되는 春절로써 木氣가 왕성하여 丙丁火를 木生火로 왕성하게 하여주니 天地가 따듯해지는 봄철에 양기를 도와 만물이 生하여 지는 때이니 노중화라고 하는 것이다.

寅,卯時에 다시 화롯불을 일으킬 때 새벽하늘의 별이 화로속에 불처럼 반짝 반짝 빛나서 노중화(화로속의 불)이라고 하는 것이다.

적천수 丁火

丁火柔中. 內性昭融. 抱乙而孝. 合壬而忠. 旺而不烈. 衰而不窮. 如有嫡母. 可秋可冬.

정화유중. 내성소융. 포을이효. 합임이충. 왕이불열. 쇠이불궁. 여유적모. 가추가동.

[번역] 정화는 부드럽고 중용을 지키니 그 성품이 밝고 지혜로우며, 乙을 만나면 효도하고, 壬과 合하여 충성하고, 旺하여도 치열하지는 아니하고, 쇠약하여도 곤궁하지 않으며, 甲만 있으면 가을도 좋고 겨울도 좋다.

[해설]

1. 丁火가 乙木을 만나면 辛金으로부터 을목을 보호한다고 따라서 효도한다고 한 것입니다.

2. 丁火가 壬水를 만나면 木으로 화합니다.

따라서 戊土가 壬水를 극할 경우 丁火가 戊土로부터 壬水를 보호하게 됩니다.

임수는 정화에 대하여 관성이니 충성한다고 한 것입니다.

3. 정화는 유순하고 중용의 덕이 있어 왕성하더라도 지나치지 않고, 쇠약하더라도 없어지지는 않습니다.

4. 정화는 갑을목이 투출하였으면 가을에도 金이 두렵지 않고, 지지에 寅卯가 있으면 겨울에도 두렵지 않습니다.

궁통보감요약 丁火

정화는 1년 12달 무조건 갑목과 경금이 있어야 합니다.

갑목이 없으면 불을 피우기는 커녕 불씨조차 살릴 수 없으니 어찌 정화가 살아남을 수 있겠으며

또한 경금이 없으면 암만 갑목이 있어봐야 갑목을 장작으로 만들어서 땔감으로 쓸 수 없으니 그 또한 정화가 살아남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니까 갑목과 정화와 경금은 이렇게 항상 따라다니면서 서로의 역할을 보조해주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는 병화나 신금에 반드시 임수가 있어야 함과 같은 꼴로 보면 됩니다...

다만 묘월의 정화는 묘중 을목이 습목이라 정화로 불을 피우면 연기가 나서 모양새가 좋지 못하게 되므로 갑목 이전에 경금으로 묘중 을목을 제압하고나서 다시 갑목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가을의 정화는 월령에 있는 경금성분을 제련하기 위해서 거푸집을 따로 필요로 하게 됩니다.

그 거푸집이 무토입니다.

결론적으로 정화는 1년 12달동안 무조건 갑목과 경금이 있어야 함이 기본중의 기본이요 다만 묘월의 정화는 갑목에 앞서서 경금이 더 중요하며 가을의 정화는 무토를 사용하여 거푸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